본 주제를 다루기 전에 복습할 것이 있다. 예전에 설정했던 공인,사설IP주소,포트번호를 기억해보자. 

내가 설정했던 IP주소,포트번호는 다음과 같다.


공인IP주소 : 14.38.111.22 (통신사가 내 집으로 주는 IP주소)

공유기의 DNS : qwe123.iptime.org

공유기의 내부IP주소 : 192.168.0.1

공유기의 포트번호 : 9876

NAS의 내부IP주소 : 192.168.0.7

NAS의 ssh포트번호 : 22

외부에서 ssh로 접속하기 위한 포트번호 : 2722




이제 윈도우 환경에서 NAS에 ssh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PuTTY를 다운받자.

https://www.putty.org/

위의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PuTTY 를 다운받아 설치하고 실행한다.


1번. IP주소를 적는다. 여기서 두 가지 경우가 생긴다. PuTTY를 실행한 장치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지,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면, 14.38.111.22(qwe123.iptime.org) 또는 192.168.0.7 을 적는다. PuTTY를 집 안에서 실행한 경우이다.

◇다른 네트워크에 있다면, 14.38.111.22(qwe123.iptime.org)만 가능하다. PuTTY를 집 밖에서 실행한 경우이다.

14.38.111.22(qwe123.iptime.org)는 외부,내부 상관없이 접속가능하고, 192.168.0.7는 내부에서만 접속가능하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같은 네트워크일 경우에는 192.168.0.7로 접속하는 것이 빠르고 안정적이며, 심지어 통신사에서 인터넷이 끊겨도 NAS에 접속가능하다. 

qwe123.iptime.org는 14.38.111.22과 같은 것이다. 이해가 안간다면 DNS 검색


2번. 포트번호입력. 위의 1번에서 192.168.0.7를 적었다면 22를, 14.38.111.22(qwe123.iptime.org)를 입력하였다면 2722를 입력한다.

14.38.111.22(qwe123.iptime.org)로 ssh를 접속하는 것은 데이터가 공유기 바깥까지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는 상황이므로 외부포트번호인 2722를 입력해야 한다. 같은 네트워크에서 PuTTY를 실행한다 하더라도 말이다.


3,4번. 자주 접속하는 경우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저장하는 것이다. 적당한 이름을 3번에다 적고 4번 Save를 눌러 저장.


5번. Open을 누르면 접속이 된다. 3,4번에서 저장했다면 이름을 더블클릭해도 접속 가능.



처음 접속한다면 인증서관련 창이 뜨는데, 가볍게 [예]를 눌러준다. 

접속이 되면 검은 바탕, 흰 글씨로 NAS의 모니터로 봤던 화면과 똑같은 로그인 화면이 뜬다.

우분투 설치시에 설정하였던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하여 접속이 잘 되는지 확인하자.



참고로 스마트폰으로도 원격접속이 가능하다.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에서 ssh라고 검색하면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