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를 설치해보자.
지금 쓰고 있는 데스크탑(아마도 윈도우)에 VirtualBox(무료) 와 같은 가상머신에서 우분투 서버를 구동하기를 추천한다.
처음 NAS를 자작할때 한번에 잘 만들 리가 없다. 분명 꼬이는 부분이 생기게 될 것이다. 따라서 가상머신에서 연습삼아 우분투 서버를 만들어 보자. 이것저것 건드려 보고, 여러가지 설치, 삭제도 반복해 보면서 충분히 연습을 해보자.
그리고 나서 이제 본격적으로 운영할 수 있겠다 싶을 때에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NAS를 구축해보자.
필자는 이미 NAS를 운용중인데다, 블로그 설명용 스크린샷을 찍기 위해 VirtualBox로 NAS를 구축하겠다.
나중에 하드 추가나 제거를 고려한다면 우분투OS를 설치할 드라이브와 데이터 드라이브는 물리적으로 구분하는걸 추천한다.
하드가 한 개 뿐이라면? 16기가 정도 되는 여분의 USB가 있다면 USB에 우분투를 깔고, 하드는 순수 데이터 저장용으로 쓰는 걸 추천한다. 우분투 서버는 윈도에 비해 워낙 가볍기 때문에 USB에 우분투를 설치하고 구동해도 느린 감이 들지 않는다. USB가 8기가 라면 부족할 수도 있다.
가상머신이 아닌 데탑, 노트북에 NAS를 설치한다면 VirtualBox 설명 부분은 전부 건너뛰고 우분투 설치부터 읽으면 되겠다.
VirtualBox를 설치 후 [새로 만들기]를 누른다.
이름을 아무렇게 입력한다. ubuntu를 입력하면 신기하게 OS 종류를 자동으로 잡아준다.
메모리는 1기가여도 충분하다. (화려한 바탕화면이 아닌, 텍스트 기반이라서)
기본설정 그대로 만들기를 누른다.
기본설정 그대로 다음을 누른다.
기본설정 그대로 다음을 누른다.
(동적할당은 가상머신 파일 용량이 실제 쓰고있는 용량만큼 커져가고,
고정크기는 처음부터 가상머신 하드 크기만큼 파일용량을 잡는다.)
실제 우분투 서버 용량은 2기가 정도, 스왑파일이 2기가 정도 된다.(스왑파일 삭제 또는 크기 수정 가능)
가상머신에서 실제 구동할 목적이 아닌 테스트 용도 이므로 10기가 설정.
[설정]을 눌러 기본설정을 해보자.
[저장소]를 누르고 [컨트롤러] 아래 CD모양을 눌러 오른쪽 [광학 드라이브] 를 눌러 우분투 iso 파일을 불러온다.
사진과 같이 된다. 컴퓨터에 CD파일을 넣은 상태와 같다.
이 부분이 중요하다! [네트워크]에서 [어댑터에 브리지]를 선택한다.
이는 가상머신이 공유기에서 주는 사설IP를 받기 위해서다. 즉, 가상머신을 실행한 PC의 IP와는 다른 별도의 독립적인 사설IP주소를 공유기로부터 받는다.
확인 누르고 실행을 누른다. 구동 중...
한글이 없다. 영어를 고른다.
Your name : 아무거나 넣는다. 로그인ID하고는 다르다.
Your Server's name : 네트워크에서 뜨는 NAS의 이름이다. 윈도우로 치면 컴퓨터 이름이다.
Pick a username : 로그인 ID이다. 자주 쓰므로 길면 로그인할때 귀찮다.
Choose a password : 특문 필요없고 극단적으로 4자리 숫자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복잡하게 해라.
NAS는 무작위 로그인 시도 공격을 시도때도 없이 받기 때문에 비밀번호가 간단하면 쉽게 털린다.
설치가 완료되면 서버이름이 뜨고, 그 옆에 로그인 계정을 넣으라 한다.
위에서 Pick a username에서 설정한 "globalwarming"을 입력후 엔터.
저 화면은 이미 비밀번호를 입력한 것이다.
비밀번호를 입력해도 ****조차 뜨지 않는다. 당황하지 말고 비밀번호 넣고 엔터.
로그인 완료. 윈도우에 익숙하다면 검은배경에 흰글씨는 충격과 공포의 화면일 수 있다. 여기서부터 시작이다.
위의 화면을 보면 현재 날짜와 시각(9시간 차이가 난다. 다음글에서 조정), IP주소, CPU와 램 사용률(램 사용률이 120메가 밖에 안된다.), 가능한 업데이트 개수 등을 알 수 있다.
아, 모니터는 이제부터 필요가 없다!!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이건 원래 필요 없었다.)를 뽑아버리자!
오직 랜선과 전원선만 연결해놓으면 된다.
나머지 모든 작업은 집 안이나 집 밖의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전부 원격으로 가능하다.
'자작NAS, 자작나스 > 우분투 서버 N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외부에서 NAS 접속 설정2 (PuTTY) (0) | 2018.12.18 |
---|---|
6. 외부에서 NAS 접속 설정1 (포트포워딩) (0) | 2018.12.14 |
4. 우분투에 대해 (0) | 2018.12.09 |
3. 공인IP, 사설IP, 포트번호 (1) | 2018.11.28 |
2. 외부에서 접속가능 하도록 공유기 기본 설정 (11) | 2018.11.25 |